![[5판] Knight 대학물리학](/book/book_image/b8093_2.jpg)
※ 도서에 동봉된 '북티켓'을 사용하시면, 《현대물리학편》전자책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대학물리학》은 랜들 나이트 가 집필한 《Physics for Scientists and Engineers: A Strategic Approach with Modern Physics》 5판의 번역본입니다. 이 책은 일반물리학을 처음 접하는 독자부터 기초를 복습하려는 분들까지 폭넓은 독자층을 고려하여 집필되었습니다. 5판 원서가 전달하려는 물리적 의미를 명확하고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충실히 번역하였으며, 독자들이 우리말로 물리학의 핵심 개념을 쉽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물리학은 자연 현상을 오감을 통해 관찰하고, 수학이라는 언어로 말하는 학문입니다. 이 대화를 통해 세상을 보다 합리적으로 이해하고자 합니다. 따라서 일반물리학의 학습은 단순히 공식과 법칙을 암기하는 것을 넘어, 논리적 사고를 바탕으로 자연 현상을 질서 정연하게 설명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입니다.
물리학에 대한 기초 지식은 자연과학뿐만 아니라 공학, 의학 및 인공지능, 양자컴퓨팅과 같은 첨단 기술 발전에도 필수적인 토대를 제공합니다.
이번 번역에서는 5판 원서에서 수정·보완된 내용을 충실히 반영하였으며, 기존 번역본의 어색한 어감이나 표현을 보다 자연스럽고 익숙한 표현으로 다듬어 독자의 가독성과 이해도를 높이려고 하였습니다.
이 책은 각 내용이 일관성 있게 전개되어 물리학 전반에 대한 흐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단순히 물리학 이론을 학습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현실적인 상황을 고려한 다양한 연습 문제와 관련 해설을 담고 있습니다. 이러한 점에서 다른 책들과의 차별성이 분명합니다.
5판에서도 랜들 나이트 의 다년간의 물리학 강의 경험과 다수의 교육자 및 강사들의 피드백을 녹여 내용의 깊이를 한층 향상시키려고 하였습니다. 6장에는 저항(항력)에 대한 내용과 스토크스 법칙이 추가되었으며, 레이놀즈 수가 항력의 원인을 구분하는 지표로 소개되었습니다. 14장에는 점성 유체의 흐름(푸아죄유 방정식)과 난류에 대한 논의가 추가되었고, 15장에는 결합 진동과 정상 모드에 대한 선택적 심화 주제가 보강되었습니다. 20장에는 엔트로피와 그 응용에 대한 정량적 내용이 광범위하게 추가되었으며, 22장에는 역학에서 학습한 벡터 개념을 다시 복습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이번 개정판에는 그림을 통한 설명이 이전보다 증가하였으며, 예제 문제도 대폭 수정·보완되었습니다. 또한 다양한 현대물리학 주제를 다룬 문제들이 새롭게 추가·반영되었습니다.
이 책이 독자 여러분에게 물리학의 매력을 전하고, 물리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키울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나아가 물리학적 사고를 바탕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을 넓히는 입문의 장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1부 뉴턴의 법칙
1장 운동의 개념
2장 1차원 운동학
3장 벡터와 좌표계
4장 2차원 운동학
5장 힘과 운동
6장 동역학 I: 직선 운동
7장 뉴턴의 제3법칙
8장 동역학 II: 평면 운동
2부 보존 법칙
9장 일과 운동 에너지
10장 상호작용과 퍼텐셜 에너지
11장 충격량과 운동량
3부 뉴턴 역학의 응용
12장 강체의 회전
13장 뉴턴의 중력 이론
14장 유체와 탄성
4부 진동과 파동
15장 진동
16장 진행파
17장 중첩
5부 열역학
18장 물질의 거시적 기술
19장 일, 열 그리고 열역학 제1법칙
20장 미시/거시 연결
21장 열기관과 냉장고
6부 전기와 자기
22장 전하와 힘
23장 전기장
24장 가우스의 법칙
25장 전위
26장 전위와 장
27장 전류와 저항
28장 회로 기초
29장 자기장
30장 전자기 유도
31장 전자기장과 전자기파
32장 교류 회로
7부 광학
33장 파동광학
34장 광선광학
35장 광학기기
《현대물리학편》
8부 상대론과 양자물리
36 상대론
37 현대물리학의 기초
38 양자화
39 파동 함수와 불확정성
40 1차원 양자역학
41 원자 물리학
42 핵물리학
Randall D. Knight
감수
최은서 조선대학교 물리학과